본문 바로가기

맞춤법

다행이 vs 다행히! 이 중에 틀린 말이 있다고? 정답은 무엇일까!

헷갈리는 맞춤법

다행이' vs '다행히

안녕하세요! 오늘은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는 '다행히'와 '다행이'의 맞춤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.

'다행히 잘 해결됐네!' 라고 말하고 싶은데, '다행이'가 맞는지 '다행히'가 맞는지 헷갈린 적 없으신가요?

많은 분들이 헷갈릴만 하다고 생각이 드는데요.

특히 이렇게 글로 작성할 때에 멈칫하신 분들이 있을 거라고 생각이 돼요!

지금부터 저와 함께 '다행히'와 '다행이' 중 어떤 표현이 맞는지,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고요!

한 번에 알아봅시다!

 

 

'다행히' vs '다행이', 정답은?

저도 급한 성격으로 인해 답변을 먼저 알려드리고 싶은데요.

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'다행히'가 맞는 표현입니다!

다행이

 

 

'다행이'는 '다행히'를 잘못 사용한 표기입니다.

하지만 많은 분들이 '다행이' 라고 잘못 사용하고 계시고 이 또한 있는 표현이라고 생각을 하시더라고요.

저도 지금 다행히 다행이를 반복해서 적다 보니, 정답을 헷갈리게 되는 사태도 발생했는데요.

'다행이'라는 표현은 사전에서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.

오늘부터 다행이는 머릿속에서 지워주세요!

 

다행히

 

 

그렇다면 '다행히'는 무슨 뜻일까?

'다행히'는 '다행하다'라는 형용사에서 파생된 부사입니다.

그렇다면 다행하다의 뜻에서도 알아봐야겠죠?

'다행하다'는 '뜻밖에 일이 잘되어 운이 좋다'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.

그러므로 '다행히'는 여기에 '-히'라는 부사형 어미가 붙어 '운이 좋게', '뜻밖에 일이 잘되어'라는 뜻을 나타냅니다.

 

예시

  • 다행히 눈이 내려 더 이쁜 사진을 찍을 수 있었다.
  • 걱정했지만, 다행히 시험에 합격했어.
  • 다행히 큰 사고는 아니었어

더 알아보기

그렇다면 '다행이'는 왜 틀린 표현일까요?

'다행이'는 '다행'이라는 명사 뒤에 조사 '-이'가 붙은 형태입니다.

하지만 문맥상 '다행' 뒤에 조사 '-이'가 오는 것은 어색하며, 자연스럽지 않은 표현입니다.

 

문제 풀이

마무리 시간이 다가왔습니다.

오늘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제 풀이를 하여 온전한 자신의 것으로 같이 만들어보아요!

 

어제 지갑을 잃어버렸어, 그치만 (다행히/다행이) 안에 중요한 물건은 없었어.

길을 잃었지만 (다행히/다행이) 학생들에게 길을 물어 돌아올 수 있었어.

 

정답은 모두 알고 계시죠? 다행히 입니다.

앞으로는 '다행히'만 기억하세요!

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